카테고리 없음

[CCNA 대비 라우터정리] PART 1

삼킨태양 2008. 11. 30. 22:42

라우터란 한마디로 GPS 이다. [라우터에서 쓰이는 명령어 몇줄을 아는게 중요하진 않다]
네트워크의 개념을 바로 잡는것이 중요하다. 여기에 포커스를 두자 !
본, 포스팅은 개인적인 자료로 정리해 놓은것이니 참고 하실 분은 하시어~ 잘 못된 부분이나 관련글이 있으시면 덧 붙여주면
    감사하겠습니다.

라우터는 경로 결정과 스위칭을 하는 장비 이고, 가장 좋은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고
이러한 라우팅 알고리즘은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서 관리한다!

라우터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 : IOS (Internetwork Operating System) - 라우팅 프로토콜의 결정, 보안기능, 편리성 제공에 관한내용이 들어있다.


Routing Protocol : 라우터가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

ex>
    : OSPF(Routing Table + Topology Database => SPF)

  (Shortest Path First 계산)

-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: RIP(Routing Table)

- Link State Routing Protocol     


알아야 할 라우팅 프로토콜
RIP(Routing Informaiton Protocol), IGRP(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), OSPF(Open Shortest Path First), EIGRP

라우팅 프로토콜의 구분
스태틱 과 다이나믹 으로 구분한다.

스태틱(Static) - 사용자가 일일이 경로를 입력 (가장 빠르고 좋은길을 입력시킬 수 있다.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 할 수 있다. (라우터들끼리 라우팅 테이블 교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귀찮다. 오래걸린다. 무식한 방법이다.


다이나믹(Dynamic) -  "부산 갈때는 비행기다" 라고 설정해놓은 것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비행기가 안뜨면 기차를 타고, 차를 타는 것처럼 상황에 따라 경로가 재 설정 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라우터에게 부담을 준다. (할일이 많기 때문)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RIP, IGRP, OSPF, EIGRP 이 모두가 다이내믹 라우팅 프로토콜에 속한다.

라우팅 설정 및 제어를 위한 명령어

show ip route : 라우팅 정보.

I 는 IGRP를 나타내고,
R은 RIP 을 나타내며,
O 는 OSPF 를 나타낸다.
또 C는 Connected, 즉 직접 접속된 네트워크를 의미

※ 네트워크에서 말하는 Distance란?

- 거치게 되는 장비의 수 or 네트워크의 수 => 홈카운트

- 초기에는 모든 회선의 전송속도가 일정했기 때문에 Distance Vector 라우팅이 가장 효율적!

- 현재는 회선속도의 다변화로 WAN 환경에서는 의미가 없음. 회사내부의 LAN을 구성할때는 아직

  쓸만함

 

Routed Protocol : 라우터를 사용하는 프로토콜

ex> TCP/IP, IPX/SPX

 

Routing Interface

- Serial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 DSU/CSU(모뎀)와 연결, 아날로그 회선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

- Ethernet/FE/GE : 이더넷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

- Loopback          : 자기 자신을 의미하는 논리 인터페이스. OSPF에서 DR등을 선출에 사용

- AUX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 전화와 직접연결

- Console(VTY)   : 장비와 케이블 직접연결

- Telnet(VTY)

교재 302P

 

라우터의 콘솔 모드

1. User Mode

- 기본 접속모드

- Router>

 

2 Privileged Mode (유저 모드에서 enable 명령어를 쳤을 때 프리빌리지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)

- 관리자 모드 : 라우터에 대한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드

- Router#

 

3. Configuration Mode

- 구성 모드 : 라우터에 구성을 할수 있는 모드

- Router(Config)#

- Router(Coifg-if)#    Router(Coinfig-Router)#

 

4. Setup Mode

- 설정 모드 : 초기 구성 마법사 모드

 

5. RXBOOT Mode (평소 사용하지 않는 모드, 패스워드를 모를 때나 IOS 파일의 문제가 생겼을 때)

- 복구 모드 : 암호를 복구할 때 사용하는 모드

 

텔넷 라우터 명령어

 

? - 명령어 확인, enable - 관리자 모드, show run - 정보

configure terminal - 구성모드, hostname () - ()로 호스트 네임 변경

Ctrl+Z - 이전 단계 모드
 

라우터에 있는 메모리

 

1. RAM

- 라우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메모리

- 라우터의 부팅에 사용, 라우팅테이블 저장

- ruinning-config

 

2. NV-RAM

- 컴퓨터의 CMOS와 같은 역활

- 라우터의 설정을 저장 (IP나 라우터 프로토콜 암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 놓는게 일반적이다)

※ 라우팅 테이블은 저장되지 않는다. 부팅시 새로 생성!

- statup-config

 

3. Flash ROM

-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역활

- IOS 이미지를 저장

 

4. ROM

- 컴퓨터의 BIOS와 같은 역활

- 구형의 IOS 이미지를 내장

- Flash ROM에 저장된 이미지가 손상되었거나 암호등을 분실했을때 ROM으로 부팅하여 문제를 해

  결할 수 있다.

- ROM을 사용해서 부팅하는 것을 RXBOOT 또는 RXMON 모드라고 한다.

 

 

R1 - 이름구성 + NV-RAM에 저장 

enable

conf t

hostname R1

ctrl+z

copy run start

 

secret password 삭제

 

R2> enable

R2# config t

R2(config)#no enable secret

R2(config)#ctrl+z

 

secret password 입력

 

R2> enable

R2# config t

R2(config)#enable secret 1234

R2(config)#ctrl+z

 

콘솔로 접속시 1234 암호걸기

 

R1>en

R1(config)#line con 0

R1(config-line)#password 1234

R1(config-line)#login

R1(config-line)#ctrl+z

R1#copy run start

R1#exi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