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단한 자격증은 당연히 아니지만, 그래도 취득했다는데 스스로 의미를 두고 올려봅니다.
레드햇과 CCNP 그리고 다른 국제자격증 들이 블로그 포스팅이 되어 스스로 만족을 시켜줄지 그건 지켜봐야겠죠..:D
레드햇과 CCNP 그리고 다른 국제자격증 들이 블로그 포스팅이 되어 스스로 만족을 시켜줄지 그건 지켜봐야겠죠..:D
실질적으로 안타까운게 현실.
자격증.. 우리나라 시스템이 어찌된건지 국내에 있는 자격증들은 모두 해외에서 인정이 안되고..
그렇다 보니.. 국제자격증을 따야만 하고~ (그래야 회사에 이력서 한줄 더 쓸테니까)
그렇지만.. 이력서 한줄 더 채우기에 급급한 나머지..
스펙 향상을 위해 급조로 자격증을 따는..
그런 현상과 그런 사람들이 태반이니..
회사 측면에선 , 자격증 있는데도 일 못하는거 보면 한심스럽고 , 없으면 남들은 없는데 넌 왜없냐며
이력서 찢어 던지고 (보기라도 보면 다행)
해외에선 이런 자격증들과 경력들이 쉽게말해 잘 먹히니.
해외로 가야하는게 진정한 IT의 길인 건지.. !
거기선 전문가라고 칭송을 해주고. (물론 자격증만 딴다고 될 문제는 아니다. 본인이 잘해야지)
OP실력을 원하고 엔지니어가 되려면
자격증을 그저 덤프만 보고 따는 것에서 그치면 안된다.
기본. 기본이 얼마나 중요한지 CCNA를 보면 알 수 있다. 이 자격증 쉬운내용은 솔직히 아니었다.
네트워크의 기본이자 기본인 자격증 CCNA.
기본과 그 실력을 갖추는게 중요하다.
자격증은 단지 그 사람을 객관적으로 판단 할 수 있는 지표일 뿐이니까.